카 인포테인먼트 기기의 핸드오버 테스트

오늘날의 인포테인먼트 기기는 커넥티드 카의 컨셉을 완전하게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handover-testing-of-automotive-infotainment-devices_ac_5215-6155-92_01.png

목표

한 가지 핵심 요소는 IVI(In-Vehicle Infortainment) 시스템에서 2G, 3G, 4G 및 WLAN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자는 이 기능을 통해 자동차의 인포테인먼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앱과 웹 사이트 및 인터넷 접속, 비디오와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통신 표준이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장착되는 소형 모듈에 탑재됩니다. 이러한 모듈은 표준 간 상호 간섭 및 상호 호환성을 해결해야 하며, 자동차의 빠른 이동성으로 인해 intra-RAT과 inter-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끊김 없는 핸드오버까지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intra-RAT 핸드오버는 동일 LTE 또는 3G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핸드오버입니다. 타겟 기지국과 소스 기지국이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습니다. inter-RAT 핸드오버란 LTE에서 3G/GSM으로 또는 3G/GSM에서 LTE로의 핸드오버, 즉,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핸드오버입니다.

핸드오버는 수신된 신호 레벨이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임계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시작됩니다. 이동 중인 차량이 서빙 셀의 작동 범위에서 들어오고 나가므로 이는 매우 익숙한

시나리오입니다. 5G 시대로 접어들면서 스몰 셀의 인기가 커지고 있으며, 셀 크기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자동차 내부의 통신 모듈은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또는 셀룰러 연결이 중단될 경우 최종 사용자 경험은 떨어집니다. Netflix 또는 YouTube 비디오 스트림도 자동차가 이동할 때 인포테인먼트 기기에서 버퍼 없이 작동해야 합니다.

로데슈바르즈 솔루션

로데슈바르즈는 intra-RAT 및 inter-RAT 핸드오버를 테스트할 수 있는 원박스 솔루션, R&S®CMW500 Wideband Radio Communication Tester를 제공합니다. R&S®CMW500은 엔드투엔드 링크뿐만 아니라 GSM, 3G, 4G 통신 표준의 기지국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 솔루션은 동일한 시그널링 환경(예: LTE에서 LTE로) 내 또는 두 가지 다른 시그널링 환경(예: LTE에서 3G 또는 GSM으로) 간 핸드오버를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R&S®CMW500 Wideband Radio Communication Tester.
R&S®CMW500 Wideband Radio Communication Tester.
라이트박스 열기

R&S®CMW500은 블라인드 핸드오버, 리디렉션과 같은 핸드오버를 지원합니다. 블라인드 핸드오버 중 R&S®CMW50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의 재구성을 트리거합니다. 재구성 메시지에는 intra-RAT 모빌리티 컨트롤 정보가 포함됩니다. 이 메커니즘은 시그널링 환경 내 핸드오버에 적용됩니다. 이 모드에서 작동 대역폭과 채널은 변경 가능하지만 셀 대역폭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리디렉션의 경우 R&S®CMW500은 리디렉션 정보를 사용해 RRC 연결을 트리거합니다. 이 메커니즘은 시그널링 환경 내 핸드오버에 적용되며, 다른 시그널링 환경 또는 다른 기기로의 핸드오버에도 적용됩니다. 시그널링 환경 내 핸드오버의 경우 작동 대역, 채널, 셀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된 파라미터의 새 연결이 구축됩니다.

마지막으로, R&S®CMW500을 사용하여 4G 네트워크 세기가 허용 가능한 전력 레벨 미만으로 떨어질 때 사용자 장비(UE)가 3G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등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ell Reselection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핸드오버 테스트를 위한 R&S®CMW500 구성
핸드오버 테스트를 위한 R&S®CMW500 구성
블라인드 핸드오버 추적 단계
블라인드 핸드오버 추적 단계
타겟 셀 테스트
타겟 셀 테스트
리디렉션 추적 단계
리디렉션 추적 단계